디지털 마케팅/디지털 마케팅

[3분 마케팅] B2B? B2B2C? 비즈니스 모델 이해하기1 |B2B, B2C, B2B2C

chaewon11 2023. 6. 5. 09:0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비즈니스 모델 중 가장 기본인 B2B, B2C와 두 모델의 혼합인 B2B2C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B2B
2. B2C
3. B2B2C

 

1. B2B(Business to Business)

B2B는 Business to Business의 약자로 기업-기업 간의 거래를 의미합니다. 

판매자와 구매자 모두 기업이기 때문에 거래하는 품목 및 서비스의 규모가 보통 큰 편입니다.

예시로는 병원에 정기적으로 공급하는 의약품,의료기기, 건설사에 공급하는 건설장비, 시멘트와 같은 건축재료, 비즈니스 협업 툴 판매 등이 있겠습니다.

2. B2C(Business to Consumer)

B2C는 Business to Consumer의 약자로 기업-소비자 간의 거래를 의미합니다.

판매자는 기업, 구매자는 소비자로 거래하는 품목 및 서비스의 규모가 B2B에 비해 작은 편입니다.

하지만 B2B에 비해 비교적 거래과정이 빠르기 때문에 비교적 빠르게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        

예시로는 개인이 구매하는 가전제품, 의류, 식음료를 비롯해 넷플릭스, 왓챠 등 OTT 및 밀리의 서재 같은 구독 서비스도 B2C에 해당하겠습니다.

3. B2B2C(Business to Business to Consumer)

 

B2B2C는 Business to Business to Consumer의 약자로 기업/소호상점 - 기업 - 소비자 간의 거래를 의미합니다.

B2B와 B2C가 결합된 비즈니스 모델로, A기업이 B기업을 통해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형태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플랫폼 먼저 살펴보면, 배달의 민족과 인스타그램, 챌린저스가 있습니다.

인스타그램의 경우 인스타그램을 사용하는 소비자와 인스타그램 Shop 기능을 이용하는 상점을 연결시켜 줍니다.

챌린저스는 초기에 B2C에 가까운 플랫폼이었다고 생각되는데, 업데이트를 거치며 새로운 수익창구로 기업 제휴를 통해 소비자의 체험 경험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데이터를 기업 측에 제공하는 B2B 시장을 발굴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 외에도 휴대용 SSD를 출시하여 B2B 거래가 이루어지던 SSD를 B2C 시장에 선보인 삼성전자를 비롯해, 최근 인터파크를 인수한 야놀자, LG전자 등 B2B2C 모델은 앞으로 더 중요해질 전망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