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마케팅/디지털 마케팅

[3분 마케팅] 우리 회사는 성장 중일까?|ROI, ROAS 이해하기

chaewon11 2023. 3. 5. 23:52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마케팅 성과를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인 ROI와 ROAS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ROI와 ROAS는 광고비 대비 매출액을 기준으로 광고 성과를 측정하는 지표인데요.

여기서 매출액을 순수익으로 보느냐, 매출액으로 보느냐에 따라 ROI, ROAS로 나뉘게 됩니다.

 

이 지표들이 무엇인지, 또 성과를 분석 및 측정하는데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1. ROI = 순수익 / 광고비 * 100

 

Return On Investment의 약자인 ROI는 투자비용 대비 수익률을 뜻합니다.

즉 , 매출액에서 제품 및 서비스 판매를 위해 투입한 모든 비용을 제외한 "순수익"을 기준으로 성과를 측정합니다.

 

순이익을 기준으로 판단하기에 ROI는 높을수록 회사의 수익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ROI가 100% 이하이면 순이익이 광고비 대비 마이너스이므로 적자이기 때문에 100%는 넘어야 광고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ROAS = 총매출/ 광고비 * 100

Return On Ad Spend의 약자인 ROAS는 광고비 대비 매출 비율을 의미합니다. 현재 집행 중인 마케팅 캠페인의 효율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집행 중인 광고 매체별로 효율성을 체크하여 예산을 재분배하거나 ROAS가 낮은 광고 소재를 파악하여 변경하는 등으로 활용할 수 있겠습니다.   

 

ROI와 마찬가지로 ROAS 역시 높을수록 마케팅 성과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는 근거 지표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ROI와 달리 ROAS는 제품 및 서비스에 투입된 비용을 제하지 않기 때문에 회사의 실제 수익과 다를 수 있으므로 이 점을 유의해서 판단해야 합니다.  ROAS는 높지만 ROI가 낮다면 회사의 순이익이 적거나 마이너스라는 의미로 장기적으로 봤을 때 마이너스 성장세이기 때문입니다.  


3. ROI와 ROAS 활용하기

그렇다면 두 지표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예를 들어 한 회사에서 두 제품에 대해 광고를 집행한다고 가정했을 때, 어떤 제품의 광고 효율이 더 좋다고 판단할 수 있을까요? 

1. A제품은 제조원가가 100만 원이며 광고비에 100만 원을 투자해 200만 원의 매출 발생
2. B제품은 제조원가가 10만 원이며 광고비에 100만 원을 투자해 150만 원의 매출이 발생

 

ROAS 계산식에 대입하여 계산해 보면,

A제품 ROAS : 200만 원 / 100만 원 * 100 = 200%
B제품 ROAS : 150만 원 / 100만 원 * 100 = 150%

 

200%의 ROAS를 달성한 A제품의 마케팅 성과가 더 좋다고 볼 수 있겠죠.   

 

하지만, 실제 제품을 생산하는데 소요되는 인건비, 임대료, 제품생산비 등 각 기업의 제조원가 및 마진은 다르기 때문에

ROAS 지표만 보고 A제품의 광고 효율이 더 좋다고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ROI를 계산해 보면 어떨까요?

ROI 계산식에 대입하여 계산해 보면,

A제품 ROI : (200만 원 - 200만 원) / 100만 원 * 100 = 0%
B제품 ROI : (150만 원 - 110만 원) / 100만 원 * 100 = 40%

 

 

이 경우 ROI가 40%인 B제품이 A제품보다 더 성과가 나타나고 성장세라고 판단할 수 있겠네요.

 

이런 식으로 ROI와 ROAS를 활용하면, ROI를 통해 우리 기업이 실제 성장 중인지 아닌지 확인할 수 있고, 어느 정도의 순이익이 나와야 하는지 순이익의 마지노선을 파악해 예산을 적절하게 분배하여 마케팅을 진행할 수 있겠죠.

 

또한 ROAS를 통해서는 광고 매체의 효율성을 판단하여 주어진 마케팅 예산을 상황에 따라 변동하여 더 효율적으로 마케팅 캠페인을 운영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오늘은 ROI와 ROAS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광고 성과를 측정하는 데 있어 중요한 지표인 만큼 꼭꼭 잊지 마시고 두 지표를 잘 활용하여 마케팅 성과를 분석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