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구글 태그 매니저라 불리는 GTM을 활용하기 전에 꼭 해야 하는 계정 생성과 웹사이트에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GTM(Google Tag Manager)이란
2. GTM 계정생성하기
3. 웹사이트에 GTM 설치하기
1. GTM(Google Tag Manager)이란?
흔히 GTM이라 부르는 구글 태그 매니저는 구글에서 제공하는 웹 분석 및 마케팅 툴입니다.
GTM은 웹사이트나 앱에서 사용자의 동작을 추적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는 곧 마케팅 전략의 수립 및 개선에 도움을 주는 툴입니다.
특히 네이버, 페이스북, 구글 등 다양한 디지털 마케팅 매체에서 광고를 집행 시 구체적인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 각각 픽셀 코드를 웹사이트, 앱에 심어야 하는데 그 과정에서 기존의 코드를 수정하거나 오류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어 조금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GTM을 활용하면, 구글 태그 매니저로 웹사이트, 앱의 코드를 수정할 필요 없이 각 매체의 픽셀 코드를 효율적으로 세팅 및 관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HTML 코드 작성이 가능한 티스토리 블로그에서도 GTM을 활용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블로그에 관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2. GTM 계정 생성하기
GTM을 쓰기 전에 앞서, 계정부터 생성을 해야 하는데요.
계정 생성은 간단합니다.
먼저 구글 태그매니저에 로그인하여, 아래와 같은 화면에서 우측의 계정 만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계정 만들기를 클릭하면 [새 계정 추가] 페이지로 넘어가게 됩니다.
계정이름, 국가, 컨테이너 이름과 플랫폼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1) [계정 이름]에는 회사명/ 웹사이트 명을 입력하고, [국가]는 알맞게 선택하여 줍니다.
2) [컨테이너 이름]에는 계정생성을 할 웹사이트 또는 앱의 주소를 입력합니다.
3) 아래 [타겟 플랫폼]에서 알맞은 플랫폼을 선택한 후 만들기 버튼을 눌러줍니다.
4)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서비스 이용약관 창이 뜹니다.
아래 이용약관 동의에 체크하고, 우측 상단의 [예]를 클릭해 주면 계정생성은 완료가 됩니다.
3. 구글 태그매니저 웹페이지에 설치하기
위의 과정을 지나면, 구글태그매니저의 메인 화면에서 GTM 스니펫 코드를 웹사이트에 설치하라는 창이 뜹니다.
이제 해당 코드를 복사하여, 등록한 웹사이트의 <head>와 <body> 태그에 모두 삽입해 주면 됩니다.
삽입 시, 각 태그의 최상단에 입력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웹페이지가 로딩될 때 GTM 스니펫 코드가 상단에 위치할수록 먼저 작동하여 웹사이트 방문자의 데이터를 수집하기 때문입니다.
위의 GTM 스니펫 코드를 다시 확인하려면,
태그관리자의 메인에서 [관리자> 계정> 컨테이너> Google 태그 관리자 설치] 경로로 들어가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티스토리 GTM 설치 방법
티스토리는 설정> 꾸미기> 스킨편집> HTML 편집 경로로 들어가서 세팅할 수 있습니다.
HTML편집을 누르면 HTML 창이 뜨는데, 아까 위에서 본 GTM 스니펫 코드를 <head>와 <body> 태그의 상단에 각각 입력 후 저장하면 GTM 스니펫 코드 설치가 완료됩니다.
이렇게 삽입한 코드가 잘 삽입됐는지는 홈페이지에 들어가 f12 혹은 마우스 우클릭>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구글태그매니저가 무엇인지, 계정을 생성하고 웹페이지에 설치하는 과정까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다음엔 GA4를 GTM을 통해 설치해 보도록 하겠습니다.